반응형
1. 상속·증여 등기는 ‘소유권이전등기’이지만 다릅니다
등기 유형상으로는 매매든 상속이든 모두 ‘소유권이전등기’지만,
등기의 원인과 준비서류, 절차는 전혀 다릅니다.
2. 상속등기 vs 증여등기, 어떻게 다를까?
구분 | 상속등기 | 증여등기 |
---|---|---|
원인 | 피상속인의 사망 | 증여계약 체결 |
세금 | 상속세 (일정 한도 초과 시) | 증여세 (무조건 신고 대상) |
절차 | ‘사망 → 상속인 등기’ | ‘계약 → 증여자 → 수증자 등기’ |
준비서류 | 제적등본, 가족관계증명서, 상속인 인감 등 | 증여계약서, 인감증명서, 위임장 등 |
3. 상속등기 시 주의사항
✅ 1) 사망일자 기준으로 상속인 결정
사망일자 기준으로 상속 순위가 정해짐
✅ 2) 공동상속인의 협의 필요
협의분할서 + 인감 날인 필수
✅ 3) 제적등본·가족관계서류 준비
등기소 제출용 서류 외, 상속인 전원의 인감증명서 필요
💡 상속등기는 온라인 등기 불가 → 무조건 오프라인
4. 증여등기 시 주의사항
✅ 1) 증여계약서 필수
날짜, 대상, 금액 명시된 계약서 필요
✅ 2) 증여세 신고 의무 발생
세금 면제 대상이어도 ‘신고서 제출’은 반드시 해야 함
✅ 3) 인감증명서, 위임장 구비
증여자 인감증명서 + 수증자 등본·신분증
5. 셀프등기 시 공통 체크리스트
- 등기원인일자 = 사망일 or 계약일
- 등기원인 = '상속' 또는 '증여'
- 첨부서류 누락 없이 준비
- 세금 신고 완료 여부 확인
- 서류 간 오탈자 없음
6. 이런 경우는 전문가 상담이 좋습니다
- 공동상속인 간 의견 불일치
- 유언장 또는 사망보험금 연계 부동산
- 증여세가 고액 예상되는 경우
- 수증자가 미성년자인 경우
- 상속인이 해외 거주 중인 경우
✅ 마무리 한마디
상속과 증여는 모두 '소유권이전'이라는 점에선 같지만,
절차와 책임이 훨씬 무겁습니다.
등기 자체는 셀프로 진행할 수 있지만,
사전에 세무, 법적 리스크까지 체크한 후 진행하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.
이번 글의 내용을 참고하셔서 불필요한 분쟁 없이 셀프등기를 마무리하시길 바랍니다.
반응형
'경제 & 금융 > 부동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등기필정보 분실 시 대처법 (재발급부터 대체 서류까지 정리) (0) | 2025.03.14 |
---|---|
셀프등기 끝났다면? 이후 꼭 챙겨야 할 서류와 확인 리스트 (0) | 2025.03.14 |
상가·오피스텔 셀프등기 시 꼭 확인할 유의사항 (주택과 다른 7가지) (0) | 2025.03.13 |
셀프등기 실패 사례 모음 (보정부터 복구까지 완전 정리) (0) | 2025.03.13 |
셀프등기 실무 Q&A 2탄 (2025년 현장 질문 정리) (0) | 2025.03.13 |